썸네일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현실과 싸우는 성실한 여자 손으로 하는건 뭐든지 자신있어, 수남 중학교때부터 손으로 하는건 무엇이든 잘하는 소녀였다 주판부터 14개의 자격증을 보유한 수남 그러나 컴퓨터가 지배하는 세상이 될거라고는 꿈에도 생각 못했다 학교를 졸업한 뒤 작은 회사에서 회사생활을 하면서 사회를 배우기 시작한 수남은 하루종일 계산기만 두드리는 지루한 일상이었지만, 일을 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열심히 직장생활을 했다 미래를 약속하는 수남과 규정 녹록치 않은 사회생활 속에서도 자신을 위로해주고, 옆에 있어주는 남자를 만났다 그 남자는 바로 규정, 규정은 귀가 잘 들리지 않았지만 규정 역시 성실했고 수남에게 잘해주었다 그렇게 서로는 미래를 약속하게 된다 청력이 좋지 않은 규정을 위해서 귀가 잘 들리는 수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어느날 귀에..
썸네일 올드보이, 비밀을 밝힌 죄가 드러나다 한국 최고의 반전영화 '넌 누구냐' 한국 최대의 반전영화라고 손꼽히는 영화다 배우 최민식을 최고의 배우로 만들어준 영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영화 최초로 칸 영화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한 희대의 명작이다 일본만화 올드보이 원작으로 한 박찬욱의 작품이다 청소년관람불가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330만을 기록하며 일본에 수출할때 220만불에 넘겼다고 한다 또 재개봉한 한국 영화 역대 흥행 1위, 그리고 2013년 헐리우드에서 리메이크까지 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명작이다 독방에 갇힌채 15년 어느날 술이 취해 경찰에서 온갖 행패를 부리고, 친구를 불러서 겨우 경찰서에서 풀려났는데 갑자기 영문도 모른채 15년동안 감금된 오대수, 독방에 갇혀서 시간이 되면 가스 수면제가 나와서 잠이들게 하고, 매일같이 똑..
썸네일 블라인드 사이드, 한 남자의 인생을 바꾸다 그는 불우한 환경을 벗어나는것 보다 사랑이 필요한 사람 감동적인 실화로 유명한 영화 블라인드사이드, 실제 리앤가족의 이야기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이영화는 미식축구 선수인 '마이클 오어'의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마이클이 리앤가족을 만나서 힘든 역경을 이겨내고 훌륭한 인생승리의 드라마를 그리고 있다 하지만 감독이 주인공을 통해 말하고 싶었던 더 중요한 이야기는 불우한 환경에 있는 아이들에게 최소한의 교육기회만 제공되어도 아이들이 범죄에 빠지지않고 자신들의 꿈을 펼치는 사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줄거리 주인공 마이클오어는 친모의 약물중독으로 강제로 가족과 이별하고, 여러가정을 전전하게 된다 하루 하루 먹을것, 잘곳을 걱정하며 살아가야 했다 그런데 추수감절 하루 전날 밤, 추운 날씨에 반팔 셔츠..
썸네일 포레스트검프, 한 남자의 인생을 달리다 많은 사람들의 인생영화로 꼽히다 놀랍게도 이 영화는 제작시 반기는 사람들이 많이 없었다고 한다 아이큐가 낮은 남자의 이야기가 과연 관객을 모을 수 없을것이라는 생각때문이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연배우 톰행크스는 자신의 출연료를 제작예산에 투입하기로 결정했고 결국 포레스트 이 작품은 톰행크스의 대표작이 되었다 작품은 개봉된 후에 많은 사랑과 인기를 받으면서도 수많은 논라에 휩싸이기도 했다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이 작품의 명대사가 기억나는가? " 인생은 초콜렛상자와 같아요" 달콤한 초콜릿인지 쓴 초콜릿인지 먹어봐야지만 알 수 있는 초콜릿이 인생과 같다라는 대사가 아직도 기억에 생생이 남는다 줄거리 검프는 벤치에 앉아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영화가 시작된다 주인공인 검프는 태어날때부터 정상적인 아이큐도 ..
썸네일 심리학의 이해 고대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가 본다 고대그리스 철학의 두 거장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이 두인물은 인간 마음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이 두 사람은 사람이 태어나자마자 지각을 타고난다는 생득설과 아무것도 없는 하얀 도화지에서 시작해서 경험을 통해 지식을 쌓아나간다는 경험론을 주장했다 이 두사람의 주장은 지금까지 여러가지 모양으로 바꿔서 이어져 내려오고 있으며 현대 심리학의 큰 주제중 하나이다 인간의 본질을 탐구했던 철학자 플라톤 그의 주장은 이러하다 이데아의 창조자인 플라톤은 인간이 내면의 진리를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면 우리앞에 놓인 빵을 보면 우리가 본 빵의 모습, 냄새, 촉감과 우리 마음속에 있는 빵의 형상, 관련기억, 지식을 비교하여 이것이 빵이라고 판단한다 우리는 감각으로 무언가..